코로나 19 이후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더욱 강해졌습니다. 물론 이전에도 '위기에는 금만 한 안전자산이 없다'가 대세였지만 말입니다. 비트코인으로 옮겨갔던 자금이 코인 시장의 대폭락으로 다시금 투자 쪽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합니다.

금 투자방법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? 생각보다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.

금 투자 방법은 직접 투자 방법, 간접 투자 방법이 있는데요 직접 투자 방법이라면 금괴(골드바)를 직접 구매하는 것입니다. 간접 투자 방법은 금 통장을 만드는 것, 금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 되겠죠.

1. 골드바 구매
대표적인 그리고 아주 직접적인 금 투자방법은 골드바(금괴)를 사서 보관하는 방식입니다.
- 구매처 : 은행, 한국금거래소
- 장점 : 환급성이 쉽다, 금값이 올라도 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어 절세효과를 누릴 수 있다.
- 단점 : 구입 시 10%의 부가가치세, 골드바 제작비용 부과

2. 금 통장(골드뱅킹)
은행에서 골드뱅킹에 가입하여 금 통장을 만들면 됩니다. 골드뱅킹 통장에 돈을 넣어두면 국제 금 시세에 따라 잔액이 자동으로 움직입니다. 예금액만큼 0.01g 단위로 금을 적립해줍니다. 금 통장에는 금의 시세에 따라 매입한 금의 무게가 표시되게 됩니다.
- 가입처 : KB국민은행 [KB 골드투자통장], 우리은행[우리 골드투자], 신한은행 [골드리슈 적립]

3. 금펀드
세금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방법이 'KRX 금시장'을 통해 증권계좌를 개설하고 금을 매매하는 방식입니다. 금 투자 초보자가 가장 쉽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되겠네요. 주식처럼 쉽게 사고팔 수 있고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.
- 거래소 : 국내 10여 개의 증권사
- 장점 : 금값이 올라도 세금이 붙지 않는다. 소액투자가 가능하다. 주식처럼 쉽게 매매가 가능하다.
- 단점 : 매매수수료가 발생한다. 배당소득세 15.4%가 부과된다. (해외 출시 금 ETF는 22%의 양도소득세 부과)


위 그래프를 보시면 국제적인 금융 위기 상황 때마다 주식은 폭락세를 보이지만, 금 시세는 오히려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금 투자는 장기적인 투자에 적합하다고 합니다. 참고하셔서 여유 자금이 있으시다면 금 투자도 고려해볼 만한 투자 방법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. 소중한 자산 안전하게 지키시면서 신중한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. 내 소중한 돈은 그 누구도 지켜주지 않습니다.
'재테크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저축계좌 청년희망키움통장 비교 정리 (0) | 2021.06.10 |
---|---|
카카오뱅크 마이너스통장 발급 대상 및 신청 방법 (0) | 2021.06.08 |
외화예금 달러통장 만들기 (0) | 2021.05.01 |
유상증자 뜻 무상증자 뜻 (0) | 2021.04.26 |
머니트리 좁쌀코인 고팍스(GOPAX)에서 현금화 하는 방법 (0) | 2021.04.21 |